본문 바로가기

자동배포 (Auto deploy)2

자동 배포 전체 개요 드디어 자동 배포 시스템 구축을 완료했다 !!!! (2023년 12월 20일 완료) 역시나 삽질의 연속이었다. 이제부터 하나씩 페이지를 만들면서 기록을 남겨보려고 한다. 그 전에, 전체적인 개요도를 먼저 공유한다. 어느정도 지식이 있는 개발자면 아래 그림만 봐도 알것 같긴 하다. 참고로 여기에 사용된 툴은 1. 젠킨스 2. Ansible 3. Docker 등이다. 크게 두가지 단계로 나뉜다. 1. ECR 에 docker image 를 push 2. ECR 에 push 된 docker image 를 EC2 로 pull 해서 run 위 구성도의 번호표를 보면서 순서대로 따라가 보자. 릴리즈 할 준비가 되었다면 1. 각 backend, frontend 의 release branch 에 최종 수정사항을 반영한다.. 2024. 3. 14.
1. ECR에 Docker image push (1/2) 앞서 얘기했듯이 , 나의 자동배포 단계는 크게 두가지 단계로 나뉜다. 1. ECR 에 docker image 를 push 2. ECR 에 push 된 docker image 를 EC2 로 pull 해서 run 1번부터 찬찬히 풀어나가 보자. 어디서부터 어디까지를 해야할지 좀 애매하지만, 열정이 풍부한 개발자들이 이 페이지를 볼거라는 생각에 최대한 자세히 쪼개보려고 한다. 1. Git 브랜치 관리 우선 Release 를 위해서는 별도의 Git brach 를 관리하는것이 좋다. 필자는 release/1.x , release/2.x , ... 로 관리하곤 한다. develop 브랜치에 반영된 커밋들중에 1. 꼭 필요한 커밋 2. 안정성이 확보된 커밋 들만 추려서 release 브랜치에 반영하고 버전업을 한다... 2024. 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