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젠킨스 (Jenkins)

7. Pipeline project - pipeline script from SCM (1/2)

by 실짱 2024. 3. 14.

 

이 방법은 젠킨스 프로젝트에 pipeline 명령어를 설정하는게 아니고 소스 코드 프로젝트에 pipeline 명령어를 셋업하는 방식이다.

즉 젠킨스가 빌드할 소스 코드의 Jenkinsfile 이라는 파일을 하나 만들어서 거기에 필요한 명령어들을 셋업하면 된다.

 

이 옵션을 선택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고, SCM 부분에서 Git 을 선택해주자.

 

선택하고 나면 Freestyle 때 접했던 익숙한 셋팅 화면을 만나게 된다.

감이 오죠?

이전 옵션(Pipeline script)는 웹상에서 명령어를 구성하는 반면

이 옵션은 소스코드 상에서 명령어를 구성하는 것이기에 파이프라인으로 빌드할 타겟 소스와 Jenkinsfile 을 셋업해주면 된다.

 

젠킨스는 파이프라인 프로젝트에서 기본적으로 소스 코드의 root path 밑에서 Jenkinsfile 이라는 파일을 찾아서 파이프라인 빌드를 한다.

이것을 custom 하게 적용해 주는 것이다.

필요한 Git 정보들을 셋업하자. (이건 freestyle 때 다 한거니, 모르겠으면 가서 다시 보고 오자)

 

그리고 마지막으로 Jenkinsfile 의 위치를 repository 의 root 를 기준으로 작성한다.

 

하나 주의할점은 파일 패스 밑에 [Lightweight checkout] 이 디폴트로 체크되어 있는데, 선택 해제 해주자.

물음표를 누르면 설명이 나오는데, full checkout 을 안하겠다는 옵션이다.

하지만 초심자들에게는 이걸로 인해 또다른 고통이 따르니 왠만한 큰 프로젝트가 아니거나, 고수가 아니라면 체크 해제하는게 심신에 이롭다.

 

이제 가장 중요한 Jenkinsfile 의 구성이 남았다.

이것 역시 내용이 기니 새로운 포스트에서 얘기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