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원들 작업
제목을 Git client 라고 한것은 개발자들은 결국 자신들의 로컬 PC 에서 작업을 하게 될것이고 이것이 Git 서버의 입장에서는 Client 이기 때문이다.
Git Client == Git서버를 베이스로 하는 각 개발자의 개인 PC
라고 이해하자.
이제 remote 저장소가 생겼다.
멤버들은 위 git 서버 저장소(remote 저장소) 에서 clone 해서 사용하면 된다.
clone 은 어떻게 하면 되는지, clone 명령어 뒤에 붙는 command 의 의미와 규칙은 무엇인지 알아보자.
우리 회사 서버 ip 주소 = 192.168.0.xx
repository 위치 = /home/git/repos/
git clone 은 아래처럼 규약이 명시되어 있다.
git clone [통신프로토콜][계정][계정IP][repository위치]
여기서 [계정] 은 Anonymous http 일 경우는 생략된다.
각종 github 사이트에가서 git clone 명령어를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github.com 에 등록된 dart-language 관련 repository 이다.
https:// 라는 프로토콜을 명시하고 뒤에 [DNS 주소:github.com]+[Repository: dart-lang/pub-dev.git] 의 조합으로 dns 를 만든다.
이 git clone 명령어는 그 자체로 git 의 repository 저장소의 관계에 대해서 파악하는 중요한 열쇠가 된다.
결론적으로 위에서 만든 test.git 을 내 로컬 pc 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래 명령어로 clone 하면 된다.
git clone "ssh://git@192.168.0.99/home/git/repos/test.git"
각각 풀어서 보면
(1) ssh:// → clone 을 할건데 ssh 프로토콜로 통신을 할꺼야
(2) git → remote origin 의 계정은 git (맨처음 1번에서 생성한 linux 유저)
(3) 192.168.0.99 → 아리바이오 서버 IP 주소 (DNS 설정 전)
(4) /home/git/repos/test.git → 서버내에서 repository 주소
(2)번은 git 에서 권유하는 방식을 따라가서 대부분 “git” user 로 서버를 관리한다.
우리 github.com 역시 git 계정이다.
이 페이지 에서는 git clone 뒤에 붙는 프로토콜+저장소 의 의미와 규칙에 대해 알아보았다.
git 의 개념을 잡을 때 아주 중요한 부분이다.
그리고 우리가 다른 사람의 코드를 참조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명령어 이기도 하다.
향후 git server 를 만들 계획이 있다면 서버에서의 계정, ip, repository 가 어떻게 유기적으로 연결되는지 잘 알고 있어야 하기에 ,
본 페이지에서 자세히 다루어 보았다.
< Prev [Git] - 1. Git 서버 구축 | Next > [[Git] - 3. Trouble shooting (GIT)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Git 서버 구축 (0) | 2023.10.20 |
---|---|
3. Trouble shooting (GIT) (0) | 2023.10.20 |